- 게임이 너무 느릿느릿하다-_-;; 판마1은 한판의 플레이 타임은 길어도 진행이 느리단 생각은 안들었는데.

게다가 타격감(이펙트 및 효과음)이 오히려 판마1시절보다 더 떨어진다.


- 게임 진행 속도 뿐만 아니라 게임 진행 자체도 상당히 루즈하다. 이건 기본덱의 쓸데없는 카드들 치워내고 제대로 된 덱을 짜 내면 나아질것 같긴 한데...


- 지형 개념을 없앤건 좋은데, 인챈트는 방식을 바꿔서 여전히 있네... 인챈트가 활성화될쯤에 판마를 거의 안하기 시작한지라 좀 이질적으로 느껴지긴 한다.


- 유닛의 레벨 당 스탯 인플레가 꽤 크다. 판마1에서는 7렙4밥쯤 되야 달고 있을만한 스탯을 여기선 6렙3밥이 들고 나온다-_-;; 게다가 버프나 아이템좀 먹이면 두자리수까지 쉽게 도달한다. 판마1보다는 오히려 소드걸스나 판마택(슈미드디바?)에 더 가까운 인상이다.


- 인터페이스가 꽤나 불편하다...

특히 스탯 및 코인 숫자가 너무 작다. 특능이 뭔지 확인하는것도 일일이 우클릭해서 카드 상세정보까지 가야 하는것도 불편하고. 하스스톤이라는 훌륭한 예제가 있는데 왜 이렇게 했을까.


- 화면 해상도 조절도 안된다. 옵션에도 그래픽 설정 그런건 없고. 혹시나 해서 Alt+Enter 해보니 그 해상도 그대로 전체화면으로 넘어가긴 하더라-_-;; 1920x1080 전체화면쯤 하니깐 그제서야 카드 숫자가 그럭저럭 읽을만한 수준이 됬다.


- 튜토리얼에 대놓고 '터치' 운운이 있는걸 보면 모바일로도 낼 생각이 있는것 같은데... 글쎄.

마비노기 듀얼도 안하고 있는 마당에 이걸 꾸준히 하고 있긴 좀 힘들지 않을까-_-;;


- 그래도 일단 '추억팔이'로는 충분히 기능할것 같다. 카드 목록 둘러보다가 '레드 플레이트'를 발견했는데, 그 때 그 시절 스탯을 그대로 가지고 있는걸 보니 꽤나 반가웠다 (...)


- 아무리 오픈베타라지만, 랭겜 돌리는 사람이 겨우 300명 정도밖에 안되는것 같은데, 매칭 시스템이 고장나는건 좀 너무한거 아닙니까 ㅠㅠ 답답함을 참고 추억을 곱씹으면서 게임 좀 더 해볼려고 해도 할수가 없네.


- 말 나온 김에 판마1 상황이나 봐볼까 했는데, 로그인이 안된다. ID 찾기도 제대로 안되는걸 보니 휴면계정이라 날라갔나 싶기도 하고... 뭐 카드 다 팔고 접은거라서 미련이 있는건 아니다만.







60% 할인 붙었다는 말을 듣고 잠시 고민하다가 그냥 질렀다. 이걸 왜 덤핑 떨이판매를 하는진 모르겠다만, 일단 싸게 팔아주니 질러 줘야지. 제품값에 근접하는 배송비가 붙고도 고작 3천엔이라니!


이걸로 넨도로이드는 두개째. "넨도를 안 산 사람은 있어도 한개만 산 사람은 없다"라는 명언(?)에 대한 반례가 깨지게 됬군 (?)







어차피 한정판이나 예약특전 특별한건 없으니 발매 당일날 국전 가서 건져올까 생각도 했지만, 퇴근길에 국전까지 가는 귀찮음 vs 약 하루 늦게 받을 가능성 따져보고 그냥 후자를 골랐다.


F랑 F2는 PS3판으로 샀는데 X는 비타판으로 삼에 따라 깔맞춤(?)이 안되는게 괜히 거슬리긴 한다. 비타판 f, F2를 지금이라도 사볼까 싶기도 하고 (...)


그러고보니 F2가 발매된지 벌써 2년이 지났구나... 시간 빠르네...











박스가 크다는 말은 그동안 많이 듣긴 했는데, 이정도로 클줄은 몰랐다-_-;; 예상 이상이다.

얼핏 봐선 1/8 아카츠바키보다도 더 큰듯 하다. 배송비는 그것보단 적게 나오긴 했지만...






블리스터. 역시 뒷스커트와 뒤로 흩날리는 머리카락이 문제였나...

철사로 묶인 부분도 여럿 있었는데 귀찮아서 그냥 니퍼로 끊었다.





조립 설명서와... 유효기간이 약 3년이나 지나버린 시리얼 코드 (...)

마마마도 어느새 방영한지 5년이나 지난 고전작이 되어버렸군. 허허...






본체와 베이스가 어떻게 연결되나 그동안 궁금했었는데, 치마 주름을 이용해 논리적 빈공간을 만들고 거기에 지지용 플라스틱 덩어리를 채워넣는 방식이었군.





날개 부착. 머리카락 사이로 들어가서 정직하게(?) 등에 그대로 꼽게 되 있다. 요즘 워낙 머리카락에 붙이거나 하는 등의 꽁수(?)를 쓰는 제품을 자주 봤더니 오히려 이런 직구가 신선하게 느껴진다.


사진은 안찍었는데, 활은 가운데가 분리되서 손 위아래로 관통하면서 끼워 고정하는 방식이다.











전체 조립 완료. 한바퀴 돌려가면서 한컷씩.


완벽하다.

멋지다.

아름답다.

더 이상 말이 필요없다.
































- 이걸 왜 진작 덤핑될때 안샀을까라는 후회와, 뒤늦게 이제라도 구하긴 했으니 다행이라는 안도가 동시에 든다.


- 사진빨이 상당히 잘 받는다. 그 어떤 각도로 어떤 구도로 찍어도 다 그럴듯하다. 일단 손가는대로 한가득 찍어놓고 블로그 올릴때는 비슷한 구도인건 몇개 정리하긴 했다.

아무튼, 이러니 그냥 피규어 사진 찍은건데도 훌륭한 월페이퍼 퀄리티로 나오지... 대단하다.


- 이걸 보고 있다가 figma 얼티밋 마도카를 쳐다보니 왠 오징어... 라는 내용을 적을 생각이었는데, 마냥 그렇지만도 않다-_-;; 그만큼 피그마도 미친 퀄리티라는 셈이지. 다리가 조금만 더 길었으면 좋았을테지만, 그 대신 포징이 가능하다는걸로 위안을 삼자.


- 딱히 리본호무나 악마호무 사서 같이 둘 필요는 없겠다. 마도갓은 홀로 존재하여도 완벽하다 (?)









- 표지의 아스나가 참 인상적이다. 화려한 드레스같은 전투복.

그런데 권두 컬러일러를 보니 그렇게 화려할수밖에 없는 이유가 있더라. 뭐? 창세신? 스테이시아님? 대체 무슨 어카운트로 로그인 한거냐 -_-;;

그나저나 저 아스나 신규 복장이 뭔가 '익숙한' 느낌이 들었는데, 계속 쳐다보고 있으니 자연스레 생각이 났다. 그래 유유유 디자이너랑 같은 사람이지... 저 복장 그대로 유유유에 내보내도 아무 위화감 없겠다 (...)


- 대규모 이능 전쟁. 거대해진 스케일 속에서 주인공 일행의 비중은 쪼그라들고, 새로운 등장인물들이 한가득 나와서 활약하고 또 순식간에 쓰러져 사라진다.

...이런 내용을 예전에 본적이 있는데 말이지. 작안의 샤나라고.

사실 정합기사들중 몇몇은 첫등장이 아니긴 하다만, 텀이 길다보니 어떤 캐릭들인지 잘 기억이 안나네 =_=


- 이 와중에 하렘 수라장 전개가 나올줄은 몰랐네 ㅋㅋㅋㅋ

그러고보니 이 시리즈에서 '명백한 본처'인 아스나에게 시비(!)거는 히로인은 처음나오는것 같다 ㅋㅋㅋㅋㅋㅋㅋㅋ


- 언더월드 사람들에겐 아스나가 하는 말이 그야말로 자신들의 세계관을 갈아엎는 충격적인 발언일텐데, 베르쿨리가 그걸 너무 잘 받아들이고 정리한다.

이야기가 충분히 복잡해질수 있는 상황일텐데, 이런걸 보고 데우스 엑스 마키나라고 표현하면 될려나.


- 아 참 그래. 유이가 나온다는 네타바레도 듣긴 했었다. 너무 예전에 들은거라서 완전 잊고 있었군-_-;;

근데 유이 성능이 너무 좋아서, 솔직히 앨리시제이션쪽의 AI랑 어떤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지 모르겠다 (...)


- 뭔가 은근슬쩍, 본편 1+2권이 아닌 프로그레시브 시리즈를 '아인크라드 정사'로 취급하는 내용이 나온것 같은데...


- 17권 표지가 리파랑 시논이길래 이건 또 뭔 전개냐 뭔 표지에서 네타바레하냐?! 싶었는데

16권에서 언급 되는 내용이긴 했군-_-;;


- 언더월드 대전이 언더월드에만 국한되는게 아니라 시리즈 총력전, 올스타전이 되 가는듯한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