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선 이걸 어느 카테고리에 가져다 둬야 하나 고민했는데... 멀티미디어 - 기타에 둔다. 틀린 말은 아니지? 근데 이 카테고리는 지금까지 뭐 감상문 올리는 곳은 아니었는데 ㅋㅋㅋ

 

현재까지 나온 컨텐츠. 공식 홈페이지의 기본 소개 정보. 유튜브의 작품 전체 그리고 캐릭터별 기본 소개 PV, 주제곡 MV, 폴카 잡담 영상 하나. 사실은 3월부터 쌓아 올린 각 캐릭터 명의의 트위터 계정. 이것들을 다 봤다는 말이다.

 

현 시점에서 주력 매체는 트윗으로 보인다. 이걸 쭉 훑어 가면 각각의 캐릭터의 일상과 교류를 알게 된다. ...가 컨셉이었는듯 한데, 실제론 그렇게까진 안된다. 그런 느낌을 가지기에는 트윗 빈도 수가 너무 적다. 따라서 이 트윗들을 볼때의 감상은 그 자체가 무언가 하나의 컨텐츠라기 보다는, 다른 무언가(메인 스토리라고 표현 할)의 발췌 요약본이이란 느낌이 든다.

 

각자의 캐릭터가 서로를 인지한 묘사를 하고, 바로 몇일뒤 트윗엔 잡담했다고 적혀있고, 또 몇일 뒤에는 같이 스쿨아이돌 하기로 했다고 적혀있다. 아니 그래서 그 몇일 사이에 대체 무슨 일이 있었는데!! 그걸 보여 줘야 할꺼아냐!!!!! ㅋㅋㅋㅋㅋ 하스노소라로 치자면, 활동 일지(메인 스토리)는 미공개로 막아두고 위드미츠만 줄줄 보여주는 느낌이다. 아주 답답하다 진짜. 아니면 이것도 하스처럼 본격적으로 세계관 내에 있다는 체감을 주고 싶은걸 더 적극적으로 하는건가?

 

그래도 긍정적인 점은, 저렇게 빈도가 적고 짧은 트윗 만으로도 어떻게 각각의 캐릭터성과 그 관계는 충분히 묘사 된다는 점이다. 짧은걸 빠르게 휘발성으로 소모하고 넘어가는 요즘 시대에 맞춘 진행 방식인가 싶기도 하다. 하스가 아무리 스토리 퀄리티가 좋아도 활동 일지의 물리적 분량은 어마어마하긴 했어. 그 분량 덕에 그렇게 좋은 스토리가 나올수도 있었겠지만.

 

유튜브 활동도 한다던데 현재로서는 폴카 잡담 겸 본인 소개 영상 하나밖에 없는 수준이니 더 코멘트 할수 있는게 없다. 즉, 기껏 프로젝트 시작! 이라고 해놓고 막상 먹을 꺼리가 없다. 멤버별 트윗이 메인이라고 하기엔 볼륨도 부실하거니와, 내용이 뻥뻥 비어져있다. '메인 스토리'를 상세하게 보여줄 무언가가 필요하다. 그게 게임이 될지 애니가 될지 또 다른 매체가 될지, 아니면 아예 없이 이대로 주는대로 먹고 살아라가 될진 모르겠지만.

 

그리고 또 하나 지적 해야 할꺼. 최초 공개 키 비쥬얼. ...예상 다 틀렸잖아!! ㅋㅋㅋㅋㅋㅋㅋㅋ 뭔 근래 다른 작품들의 흐름을 따라서 어두운 분위기의 작품이야. 뚜껑 열어보니 역대급 개그물이 될 소질이 다분하구만. 사실은 스토리 진행하다 보면 저런 분위기가 된답니다~ 도 아닐것 같고, 그냥 첫 공개 어그로를 쎄게 끌었다고 봐야겠다. 근데 저건 진짜 어그로 수준을 넘어서서 표지 사기, 거짓말 수준이긴 한데...

 

그 외에도 정식 공개 이전 나온 이런저런 요소들을 보고 이번에야 말로 진짜 버튜버다! 라는 주장도 있었는데... 프로젝트 첫 공개부터 그런거 모르겠고 네 여기 CV 이름이랑 사진도 첨부합니다~ ㅋㅋㅋ 그래 이게 바로 럽라지! 버튜버가 어쩌고 저쩌고 다른 장르 괜히 따라할 생각 없이 자기 스타일로만 밀고 가는 패기가 아주 대단하다. 

 

이걸 또 꾸준히 따라가게 될지는 아직은 모르겠지만, 컨텐츠 공급 수준이 현재 기준으로 지속된다면 뭐 못할것도 없을것 같다. 몇일에 한번 트윗 문장 몇개만 AI 번역(아주 공을 들여서 학습시켜놨다! 뭐 분석 해 달라고 하면 웬만한 오타쿠 고찰 에세이가 튀어나온다!) 한테 던져주면 될테니깐. 근데 정말로 이 정도 수준으로만 지속 하진 또 않을텐데. 과연.

 


 

이번 신규 일러가 꽤 마음에 드는데 공식 사이트에 사실상 원본 급의 고해상도 이미지로 올라와 있어서 폰 배경으로 가공해 봤다. 그림판으로. 폰 화면 비율에 맞춰서 전체화면으로 제작했다가 실 적용 후 폐기하고 재작업. 아이폰 대기 화면 기준 시계 표시 아래까지만 실제 이미지 공간으로 사용하고 그 위는 여백으로 남겼다. 또한 아이폰 배경 설정이 좀 이상하게 적용되는게 많아서... 상단 강제 블러를 방지하기 위해 상단 여백을 더 늘리고 그에 따라 비율도 달라졌다. 위치 설정할때 축소 하면서 위로 밀면(아랫쪽 맞춤으로 하면) 된다. 그 외 작업 과정은 생략.

 

그리고 얻은 교훈 하나. 그림판으로 알파 블렌딩 다루는건 노답이다. 교훈 둘. 이렇게 작업할꺼면 차라리 프로그램 코드를 짜서 뽑아내거나 css로 배치해서 캡쳐하자.

 


 

 

B2 액자를 2개 구매했다. 근데 배송은 3개가 오더라. 응? 주문서 확인해보니 3개가 맞았다. ...내가 갯수 선택을 잘못했었나. 어쩐지 가격이 좀 쎄다 했어 ㅋㅋ

 

확실히 알루미늄 프레임을 쓰니깐 디자인도 깔끔하고 테두리도 얇아서 좋다. 다만 내용물 넣는 과정이 꽤 번거롭네. 자주 바꾸기엔 꽤 귀찮다.

 

집에 수 많은 B2 포스터 적당히 넣었는데, 저 스포츠 호치 하스노소라 특전 포스터는 정확히 B2 사이즈가 아니더라. 적당히 테두리 접어서 넣었다. 근데 종이도 정말로 신문지 수준이라서 주름이나 변색이 심하다. 이렇게 보존 용도가 아닌건가...

 

이제 문제는 지난번꺼까지 해서 저 액자들을 어떻게 방에 걸것인가. 빈 벽이 있긴 하다만 거기 다 걸진 못할텐데...

 

 


 

 

발단은 리유 내한 사인 포스터. 보통 이런거 받으면 그냥 둘둘 말아서 구석에 박아두는데, 차마 친필 사인 포스터에 그렇게 할순 없고... 액자에 넣어 장식하기로 했다.

 

 

 

이렇게 포스트카드 굿즈는 다이소 액자에 넣어서 장식하고 있었기에 이런 느낌이면 되겠지 싶었는데... 다이소에 B3 사이즈 액자가 없다-_-;; 그래서 인터넷 뒤져서 새로 주문하고, 하는김에 다른 크기로도 몇개 더 샀다. 생각해보면, B3 크기쯤 되면 다이소에서 취급할만한 가격대를 벗어나버리니 없는건가 싶다.

 

 

 

 

일단 리유 사인 포스터. 액자 크기가 살짝 더 크군. 같은 B3라도 규격이 좀 다른가. 아무튼 약간의 추가 세팅으로 더 고급스런 굿즈가 되었다. 포스터 종이 자체가 좀 주름 생긴게 문제긴 한데, 남탓 할꺼도 없고 어쩔수 없지...

 

그리고 하나 더 구매한 액자에 럽라 데이즈 잡지 구매하면서 쌓인 포스터에서 뭐 골라 넣어볼려 했는데... 아! 이거 포스터 크기가 B3가 아니라 B2구나?! 크기가 두배네?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그럼 여기엔 뭘 넣어봐야 하나. B3 포스터 뭐 받아놓은게 있나- 싶어서 방구석에 박혀있던 포스터 모음 봉투를 정말 오랫만에(꺼내니깐 먼지가 한가득 날린다) 꺼내서 뒤져봤다. 정말 잊고 있던 별별거 다 나오고, 그 와중에 선샤인 극장판 태피스트리(아마 국내 상영회에서 받았는거일려나?)는 꺼내서 방에 추가로 걸어뒀다. 그러나 마땅히 쓸만한 B3 포스터가 없더라. 죄다 크기가 훨씬 큰데? 딱 하나 있는게 노게노라 극장판 포스터. ...이걸 방에 걸어두긴 좀 그렇군요.

 

 

 

 

그래서 아직 저런 구석 보관소에 넣지 못하고 책장 근처에 말려서 굴러다니던(...) 니지동 나베조 콜라보 일러를 넣었다. 크기 차이가 크게 나긴 하는데... 일단 임시 배치인걸로.

 

 

 

 

다음은 A4 클리어 파일. 말이 클리어 파일이지 사실상 PET재질 포스터라고 봐도 되겠지. 근데 어찌됐든 클리어 파일이라서, A4 용지를 담게 되어있어서, 크기가 A4보다 조금 더 크다. 그래서 B4 액자를 주문해봤다. 여백이 어느정도 생기긴 하는구만. 그리고 '클리어' 파일이라서 뒷면이 조금씩 비쳐보인다. 그래서 안에 빈 A4지 하나 끼워넣었다. 

 

 

 

 

마지막으로 일마존 특전 메가자켓. 크기가 240x240인데 정사각형 최소 크기는 300x300. 거기에 3cm 여백 종이가 있길래 그거까지 해서 딱 정가운데 위치가 된다.

 

 

 

이렇게 쭉 세팅 해놓고 보니... 결론? 감상?

 

하나. 알루미늄 프레임을 쓰는 이유가 있구나. 합성목재로 하니깐 테두리가 꽤 두껍다. 알루미늄은 더 컴팩트하겠지. 모서리가 날카롭고 또 드라이버 써야 한다고 해서 일단 합성목재로 했는데... 알루미늄 해도 될듯 하다.

 

둘. 기성 크기에 딱 맞는거 아니면 그냥 크기 맞춰 주문제작 하자. 메가자켓도 클리어파일도 다 여백이 생기는데, 이게 액자 자체의 태두리까지 포함하니깐 크기가 꽤 뻥튀기된다. 

 

셋. 액자 세팅한건 좋은데 이거 어디다 두지...? 방에 빈 벽 공간이 좀 있긴 한데 거기 줄줄 걸어두면 되나 ㅋㅋㅋㅋ

 

 


 

9:16의 세로로 긴 이미지이다. 슼타 원본 일러 구해서 좌우 적당히 잘라내서 비율 맞춘 뒤 waifu2x로 늘렸다. 

 

 


 

논크레딧 BD 영상 캡쳐 후 waifu2x로 늘렸다.

 

 


 

9:16의 세로로 긴 이미지이다. 슼타 원본 일러 구해서 좌우 적당히 잘라내서 비율 맞춘 뒤 waifu2x로 늘렸다. 

 

 


 

9:16의 세로로 긴 이미지이다. 슼타 원본 일러 구해서 좌우 적당히 잘라내서 비율 맞춘 뒤 waifu2x로 늘렸다. 폰에도 쓰고 싶은데 요즘 폰은 거의 9:20 비율이라... 위아래 레터박스를 넣거나 좌우를 추가적으로 잘라내거나 해야 할듯.

 

 


 

TVA 2기 BD판 논크레딧 영상 캡쳐 후 waifu2x로 늘렸다. 엔딩 일러 유우는 애니엔 그런거 없지. 엔딩 자켓 스캔 이미지 구해서 적당히 편집했다.